계: Input Validation and Representation

입력 검증 및 표현 문제는 메타 문자, 대체 인코딩 및 숫자 표현 때문에 발생합니다. 보안 문제는 입력을 신뢰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문제로는 "Buffer Overflows", "Cross-Site Scripting" 공격, "SQL Injection", 그 외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Cross-Site Scripting: Inter-Component Communication

Abstract
검증되지 않은 데이터를 웹 브라우저에 보내면 브라우저가 악성 코드를 실행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Explanation
XSS(Cross-site scripting) 취약점은 다음 경우에 발생합니다.

1. 신뢰할 수 없는 소스를 통해 데이터가 웹 또는 모바일 응용 프로그램에 입력됩니다. Inter-Component Communication XSS의 경우 신뢰할 수 없는 소스는 동일한 시스템에 상주하는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받은 데이터입니다. 모바일 환경에서 이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장치에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입니다. Reflected XSS의 경우 신뢰할 수 없는 소스는 일반적으로 웹 요청이지만, Persisted(Stored 라고도 함) XSS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백엔드 데이터 저장소입니다.


2. 데이터는 검증 없이 웹 사용자에게 전달된 동적 콘텐트에 포함됩니다.

웹 브라우저에 전달되는 악성 콘텐트는 흔히 JavaScript 세그먼트의 형태를 취하지만 HTML, Flash 또는 기타 브라우저가 실행하는 다른 모든 유형의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습니다. XSS 기반의 공격은 거의 무제한으로 다양하지만, 흔히 쿠키 또는 기타 세션 정보와 같은 개인 데이터를 공격자에게 전송하여 피해자를 공격자가 제어하는 웹 콘텐트에 리디렉션하거나 피해 사이트로 위장하고 사용자 컴퓨터에 기타 악의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공통적인 수법입니다.

모바일 환경에서는 Cross-Site Scripting과 같은 전형적인 웹 응용 프로그램 취약성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사용자도 있습니다. 자기 자신을 공격하는 사용자는 없을 것이라 여기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모바일 플랫폼의 핵심 요소는 다양한 소스에서 다운로드되어 같은 장치에서 함께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이라는 점을 유념해야 합니다. 즉 금융 응용 프로그램과 맬웨어를 함께 실행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프로세스 간 통신을 포함하도록 모바일 응용 프로그램의 공격 표면을 확장해야 합니다.

예제 1: 다음 ASP.NET 코드 세그먼트는 HTTP 요청에서 직원 ID(eid)를 읽고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합니다.


String eid = Request["eid"];
...
EmployeeID.Text = eid;


여기서 EmployeeID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 서버 쪽 ASP.NET 컨트롤입니다.


<form runat="server">
...
<asp:Label id="EmployeeID" runat="server"/>
...
</form>


다음 예제의 코드는 eid에 표준 영숫자 텍스트만 있으면 올바로 동작합니다. eid가 메타 문자나 소스 코드가 포함된 값을 갖는 경우, 웹 브라우저가 HTTP 응답을 표시할 때 코드를 실행합니다.

처음에는 이것이 큰 취약점으로 보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결국 누군가 URL을 입력하여 자신의 컴퓨터에서 악성 코드가 실행되게 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정말 위험한 일은 공격자가 악성 URL을 만든 다음 전자 메일 또는 사회 공학 속임수를 사용하여 피해자가 URL의 링크를 방문하도록 만드는 것입니다. 피해자가 링크를 클릭하면 모르는 사이에 취약한 웹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해로운 내용을 본인의 컴퓨터로 전달하게 됩니다. 취약한 웹 응용 프로그램을 익스플로이트하는 메커니즘을 Reflected XSS 라고 합니다.

예제 2: 다음 ASP.NET 코드 세그먼트는 지정된 ID를 가진 직원을 데이터베이스에 쿼리하여 해당 직원의 이름을 인쇄합니다.


...
string name = "";
using (SqlConnection conn = new SqlConnection(_ConnectionString))
{
string eid = Request["eid"];
SqlCommand cmd = new SqlCommand("SELECT * FROM emp WHERE id = @id", conn);
cmd.Parameters.AddWithValue("@id", eid);
conn.Open();
SqlDataReader objReader = cmd.ExecuteReader();

while (objReader.Read())
{
name = objReader["name"];
}
objReader.Close();
}
...

EmployeeName.Text = name;


여기서 EmployeeName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 서버 쪽 ASP.NET 컨트롤입니다.


<form runat="server">
...
<asp:Label id="EmployeeName" runat="server"/>
...
</form>
Example 2에서처럼 이 코드는 name의 값이 올바로 동작할 때는 정확하게 기능을 하지만 그렇지 않을 때는 익스플로이트를 방지하기 위한 아무 조치도 취하지 않습니다. 이 코드는 name의 값을 분명하게 응용 프로그램이 콘텐트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읽기 때문에 위험하지 않은 것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name의 값이 사용자가 제공하는 데이터에서 오는 경우 데이터베이스는 악성 콘텐트의 통로가 될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에 대한 적절한 입력값 검증 절차가 없으면 공격자는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에서 악의적인 명령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런 유형의 익스플로이트를 Persistent(또는 Stored) XSS라고 하는데 데이터 저장소가 사용하는 간접 참조 때문에 위협을 식별하기 어렵고 공격이 여러 사용자에게 가해질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에 더욱 위험합니다. XSS는 방문자에게 "방명록"을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서 이런 형태로 시작되었습니다. 공격자가 방명록 항목에 JavaScript를 삽입하면 이후에 방명록 페이지를 방문하는 방문자는 모두 악성 코드를 실행하게 됩니다.

예제에서처럼, XSS 취약점은 HTTP 응답에 확인되지 않은 데이터가 포함된 코드 때문에 발생합니다. XSS 공격이 피해자에게 가해지는 방식은 세 가지가 있습니다.

- Example 1에서처럼 데이터를 HTTP 요청에서 직접 읽어 들여 HTTP 응답에 다시 적용하는 것입니다. 적용된 XSS 익스플로이트는 공격자가 사용자로 하여금 위험한 콘텐트를 취약한 웹 응용 프로그램에 제공하도록 만드는 것입니다. 이 위험한 콘텐트는 다시 사용자에게 돌아가고 웹 브라우저가 이를 실행합니다. 악성 콘텐트를 제공하는 가장 일반적인 메커니즘은 콘텐트를 공용으로 게시하거나 피해자에게 직접 전자 메일로 보내지는 URL의 매개 변수로 포함하는 것입니다. 이런 식으로 생성된 URL은 많은 공격자가 피해자를 속여 피해 사이트를 참조하는 URL을 방문하게 하는 피싱 기법의 근간을 이룹니다. 사이트가 공격자의 콘텐트를 사용자에게 보내면, 콘텐트가 실행되고 세션 정보가 들어있는 쿠키 등의 개인 정보가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공격자에게 전송되거나 다른 악의적인 작업이 수행됩니다.

- Example 2에서처럼 응용 프로그램은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소에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그러면 위험한 데이터는 응용 프로그램이 다시 읽어 들여 동적 콘텐트에 포함시킵니다. Persistent XSS 익스플로이트는 공격자가 위험한 콘텐트를 데이터 저장소에 삽입하고 이 콘텐트를 나중에 읽어 들여 동적 콘텐트에 포함시킬 때 발생합니다. 공격자의 관점에서 악성 콘텐트를 삽입할 최적의 장소는 많은 사용자나 특히 관련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장소입니다. 일반적으로 관련 사용자는 응용 프로그램에 권한을 높이거나 공격자가 원하는 민감한 데이터와 상호 작용합니다. 이런 사용자가 악성 콘텐트를 실행하면 공격자는 사용자 대신 권한 있는 작업을 실행하거나 사용자 소유의 민감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많은 최신 웹 프레임워크는 사용자 입력의 검증을 수행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합니다(Struts 및 Struts 2 포함). 확인되지 않은 입력의 소스를 강조하기 위해, Fortify 보안 코딩 규칙 팩은 악용 가능성을 낮추고 프레임워크 검증 메커니즘이 사용 중일 때마다 지원하는 증거에 포인터를 제공하여 Fortify Static Code Analyzer에서 보고한 문제의 우선 순위를 동적으로 재지정합니다. 이 기능을 Context-Sensitive Ranking(컨텍스트 감지 순위)이라고 부릅니다. Fortify 사용자의 감사 프로세스를 지원하기 위해, Fortify Software Security Research Group은 입력 소스에 적용된 검증 메커니즘에 따라 문제를 폴더로 그룹화하는 데이터 유효성 프로젝트 템플릿을 사용 가능하게 만듭니다.
References
[1] Anti-Cross Site Scripting Library MSDN
[2] Understanding Malicious Content Mitigation for Web Developers CERT
[3] HTML 4.01 Specification W3
[4] Tongbo Luo, Hao Hao, Wenliang Du, Yifei Wang, and Heng Yin Attacks on WebView in the Android System
[5] Erika Chin and David Wagner Bifocals: Analyzing WebView Vulnerabilities in Android Applications
[6] Standards Mapping - Common Weakness Enumeration CWE ID 79, CWE ID 80
[7] Standards Mapping - Common Weakness Enumeration Top 25 2019 [2] CWE ID 079
[8] Standards Mapping - Common Weakness Enumeration Top 25 2020 [1] CWE ID 079
[9] Standards Mapping - Common Weakness Enumeration Top 25 2021 [2] CWE ID 079
[10] Standards Mapping - Common Weakness Enumeration Top 25 2022 [2] CWE ID 079
[11] Standards Mapping - Common Weakness Enumeration Top 25 2023 [2] CWE ID 079
[12] Standards Mapping - Common Weakness Enumeration Top 25 2024 [1] CWE ID 079
[13] Standards Mapping - DISA Control Correlation Identifier Version 2 CCI-001310, CCI-002754
[14] Standards Mapping - FIPS200 SI
[15] Standards Mapping -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GDPR) Indirect Access to Sensitive Data
[16] Standards Mapping - NIST Special Publication 800-53 Revision 4 SI-10 Information Input Validation (P1)
[17] Standards Mapping - NIST Special Publication 800-53 Revision 5 SI-10 Information Input Validation
[18] Standards Mapping - OWASP Application Security Verification Standard 4.0 5.3.3 Output Encoding and Injection Prevention Requirements (L1 L2 L3), 5.3.6 Output Encoding and Injection Prevention Requirements (L1 L2 L3)
[19] Standards Mapping - OWASP Mobile 2014 M7 Client Side Injection
[20] Standards Mapping - OWASP Mobile 2024 M4 Insufficient Input/Output Validation
[21] Standards Mapping - OWASP Mobile Application Security Verification Standard 2.0 MASVS-CODE-4
[22] Standards Mapping - OWASP Top 10 2004 A4 Cross Site Scripting
[23] Standards Mapping - OWASP Top 10 2007 A1 Cross Site Scripting (XSS)
[24] Standards Mapping - OWASP Top 10 2010 A2 Cross-Site Scripting (XSS)
[25] Standards Mapping - OWASP Top 10 2013 A3 Cross-Site Scripting (XSS)
[26] Standards Mapping - OWASP Top 10 2017 A7 Cross-Site Scripting (XSS)
[27] Standards Mapping - OWASP Top 10 2021 A03 Injection
[28]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1.1 Requirement 6.5.4
[29]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1.2 Requirement 6.3.1.1, Requirement 6.5.1
[30]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2.0 Requirement 6.5.7
[31]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3.0 Requirement 6.5.7
[32]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3.1 Requirement 6.5.7
[33]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3.2 Requirement 6.5.7
[34]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3.2.1 Requirement 6.5.7
[35]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4.0 Requirement 6.2.4
[36]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4.0.1 Requirement 6.2.4
[37]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Software Security Framework 1.0 Control Objective 4.2 - Critical Asset Protection
[38]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Software Security Framework 1.1 Control Objective 4.2 - Critical Asset Protection, Control Objective B.3.1 - Terminal Software Attack Mitigation, Control Objective B.3.1.1 - Terminal Software Attack Mitigation
[39]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Software Security Framework 1.2 Control Objective 4.2 - Critical Asset Protection, Control Objective B.3.1 - Terminal Software Attack Mitigation, Control Objective B.3.1.1 - Terminal Software Attack Mitigation, Control Objective C.3.2 - Web Software Attack Mitigation
[40] Standards Mapping - SANS Top 25 2009 Insecure Interaction - CWE ID 079
[41] Standards Mapping - SANS Top 25 2010 Insecure Interaction - CWE ID 079
[42] Standards Mapping - SANS Top 25 2011 Insecure Interaction - CWE ID 079
[43]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3.1 APP3510 CAT I, APP3580 CAT I
[44]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3.4 APP3510 CAT I, APP3580 CAT I
[45]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3.5 APP3510 CAT I, APP3580 CAT I
[46]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3.6 APP3510 CAT I, APP3580 CAT I
[47]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3.7 APP3510 CAT I, APP3580 CAT I
[48]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3.9 APP3510 CAT I, APP3580 CAT I
[49]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3.10 APP3510 CAT I, APP3580 CAT I
[50]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2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1]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3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2]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4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3]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5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4]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6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5]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7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6]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8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7]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9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8]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10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9]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11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60]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1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61]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5.1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62]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5.2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63]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5.3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30 CAT II, APSC-DV-002560 CAT I
[64]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6.1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30 CAT II, APSC-DV-002560 CAT I
[65] Standards Mapping - Web Application Security Consortium Version 2.00 Cross-Site Scripting (WASC-08)
[66] Standards Mapping - Web Application Security Consortium 24 + 2 Cross-Site Scripting
desc.dataflow.dotnet.cross_site_scripting_inter_component_communication
Abstract
검증되지 않은 데이터를 웹 브라우저에 보내면 브라우저가 악성 코드를 실행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Explanation
XSS(Cross-Site Scripting) 취약점은 다음 경우에 발생합니다.

1. 신뢰할 수 없는 소스를 통해 데이터가 웹 응용 프로그램에 입력됩니다. Inter-Component Communication XSS의 경우 신뢰할 수 없는 소스는 동일한 시스템에 상주하는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받은 데이터입니다. Reflected XSS의 경우 신뢰할 수 없는 소스는 일반적으로 웹 요청이지만, Persisted(Stored 라고도 함) XSS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백엔드 데이터 저장소입니다.

2. 데이터는 검증 없이 웹 사용자에게 전달된 동적 콘텐트에 포함됩니다.

웹 브라우저에 전달되는 악성 콘텐트는 흔히 JavaScript 세그먼트의 형태를 취하지만 HTML, Flash 또는 기타 브라우저가 실행하는 다른 모든 유형의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습니다. XSS 기반의 공격은 거의 무제한으로 다양하지만, 흔히 쿠키 또는 기타 세션 정보와 같은 개인 데이터를 공격자에게 전송하여 피해자를 공격자가 제어하는 웹 콘텐트에 리디렉션하거나 피해 사이트로 위장하고 사용자 컴퓨터에 기타 악의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공통적인 수법입니다.


예제 1: 다음 Ruby 코드 세그먼트는 HTTP 요청에서 사용자 이름인 user를 읽어 사용자에게 표시합니다.

func someHandler(w http.ResponseWriter, r *http.Request){
r.parseForm()
user := r.FormValue("user")
...
fmt.Fprintln(w, "Username is: ", user)
}


다음 예제의 코드는 user에 표준 영숫자 텍스트만 있으면 올바로 동작합니다. user가 메타 문자나 소스 코드가 포함된 값을 갖는 경우, 웹 브라우저가 HTTP 응답을 표시할 때 코드를 실행합니다.

처음에는 이것이 큰 취약점으로 보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결국 누군가 URL을 입력하여 자신의 컴퓨터에서 악성 코드가 실행되게 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정말 위험한 일은 공격자가 악성 URL을 만든 다음 전자 메일 또는 사회 공학 속임수를 사용하여 피해자가 URL의 링크를 방문하도록 만드는 것입니다. 피해자가 링크를 클릭하면 모르는 사이에 취약한 웹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해로운 내용을 본인의 컴퓨터로 전달하게 됩니다. 취약한 웹 응용 프로그램을 익스플로이트하는 메커니즘을 Reflected XSS 라고 합니다.

예제 2: 다음 Go 코드 세그먼트는 주어진 ID를 가진 직원을 데이터베이스에 쿼리하여 해당 직원의 이름을 인쇄합니다.

func someHandler(w http.ResponseWriter, r *http.Request){
...
row := db.QueryRow("SELECT name FROM users WHERE id =" + userid)
err := row.Scan(&name)
...
fmt.Fprintln(w, "Username is: ", name)
}
Example 1에서처럼 이 코드는 name의 값이 올바로 동작할 때는 정확하게 기능을 하지만 그렇지 않을 때는 익스플로이트를 방지하기 위한 아무 조치도 취하지 않습니다. 이 코드는 name의 값을 분명하게 응용 프로그램이 콘텐트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읽기 때문에 위험하지 않은 것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name의 값이 사용자가 제공하는 데이터에서 오는 경우 데이터베이스는 악성 콘텐트의 통로가 될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에 대한 적절한 입력값 검증 절차가 없으면 공격자는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에서 악의적인 명령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런 유형의 익스플로이트를 Persistent(또는 Stored) XSS라고 하는데 데이터 저장소가 사용하는 간접 참조 때문에 위협을 식별하기 어렵고 공격이 여러 사용자에게 가해질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에 더욱 위험합니다. XSS는 방문자에게 "방명록"을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서 이런 형태로 시작되었습니다. 공격자가 방명록 항목에 JavaScript를 삽입하면 이후에 방명록 페이지를 방문하는 방문자는 모두 악성 코드를 실행하게 됩니다.

예제에서처럼, XSS 취약점은 HTTP 응답에 확인되지 않은 데이터가 포함된 코드 때문에 발생합니다. XSS 공격이 피해자에게 가해지는 방식은 세 가지가 있습니다.

- Example 1에서 볼 수 있듯이 데이터를 HTTP 요청에서 직접 읽어 들여 HTTP 응답에 다시 반영합니다. 적용된 XSS 익스플로이트는 공격자가 사용자로 하여금 위험한 콘텐트를 취약한 웹 응용 프로그램에 제공하도록 만드는 것입니다. 이 위험한 콘텐트는 다시 사용자에게 돌아가고 웹 브라우저가 이를 실행합니다. 악성 콘텐트를 제공하는 가장 일반적인 메커니즘은 콘텐트를 공용으로 게시하거나 피해자에게 직접 전자 메일로 보내지는 URL의 매개 변수로 포함하는 것입니다. 이런 식으로 생성된 URL은 많은 공격자가 피해자를 속여 피해 사이트를 참조하는 URL을 방문하게 하는 피싱 기법의 근간을 이룹니다. 사이트가 공격자의 콘텐트를 사용자에게 보내면, 콘텐트가 실행되고 세션 정보가 들어있는 쿠키 등의 개인 정보가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공격자에게 전송되거나 다른 악의적인 작업이 수행됩니다.

- Example 2에서 볼 수 있듯이 응용 프로그램은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소에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그러면 위험한 데이터는 응용 프로그램이 다시 읽어 들여 동적 콘텐트에 포함시킵니다. Persistent XSS 익스플로이트는 공격자가 위험한 콘텐트를 데이터 저장소에 삽입하고 이 콘텐트를 나중에 읽어 들여 동적 콘텐트에 포함시킬 때 발생합니다. 공격자의 관점에서 악성 콘텐트를 삽입할 최적의 장소는 많은 사용자나 특히 관련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장소입니다. 일반적으로 관련 사용자는 응용 프로그램에 권한을 높이거나 공격자가 원하는 민감한 데이터와 상호 작용합니다. 이런 사용자가 악성 콘텐트를 실행하면 공격자는 사용자 대신 권한 있는 작업을 실행하거나 사용자 소유의 민감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 응용 프로그램 외부의 소스에서 데이터베이스 또는 기타 데이터 저장소에 위험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위험한 데이터를 응용 프로그램이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로 읽어들여 데이터가 동적 콘텐트에 포함됩니다.
References
[1] Understanding Malicious Content Mitigation for Web Developers CERT
[2] HTML 4.01 Specification W3
[3] Standards Mapping - Common Weakness Enumeration CWE ID 79, CWE ID 80
[4] Standards Mapping - Common Weakness Enumeration Top 25 2019 [2] CWE ID 079
[5] Standards Mapping - Common Weakness Enumeration Top 25 2020 [1] CWE ID 079
[6] Standards Mapping - Common Weakness Enumeration Top 25 2021 [2] CWE ID 079
[7] Standards Mapping - Common Weakness Enumeration Top 25 2022 [2] CWE ID 079
[8] Standards Mapping - Common Weakness Enumeration Top 25 2023 [2] CWE ID 079
[9] Standards Mapping - Common Weakness Enumeration Top 25 2024 [1] CWE ID 079
[10] Standards Mapping - DISA Control Correlation Identifier Version 2 CCI-001310, CCI-002754
[11] Standards Mapping - FIPS200 SI
[12] Standards Mapping -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GDPR) Indirect Access to Sensitive Data
[13] Standards Mapping - NIST Special Publication 800-53 Revision 4 SI-10 Information Input Validation (P1)
[14] Standards Mapping - NIST Special Publication 800-53 Revision 5 SI-10 Information Input Validation
[15] Standards Mapping - OWASP Application Security Verification Standard 4.0 5.3.3 Output Encoding and Injection Prevention Requirements (L1 L2 L3), 5.3.6 Output Encoding and Injection Prevention Requirements (L1 L2 L3)
[16] Standards Mapping - OWASP Mobile 2014 M7 Client Side Injection
[17] Standards Mapping - OWASP Mobile 2024 M4 Insufficient Input/Output Validation
[18] Standards Mapping - OWASP Mobile Application Security Verification Standard 2.0 MASVS-CODE-4
[19] Standards Mapping - OWASP Top 10 2004 A4 Cross Site Scripting
[20] Standards Mapping - OWASP Top 10 2007 A1 Cross Site Scripting (XSS)
[21] Standards Mapping - OWASP Top 10 2010 A2 Cross-Site Scripting (XSS)
[22] Standards Mapping - OWASP Top 10 2013 A3 Cross-Site Scripting (XSS)
[23] Standards Mapping - OWASP Top 10 2017 A7 Cross-Site Scripting (XSS)
[24] Standards Mapping - OWASP Top 10 2021 A03 Injection
[25]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1.1 Requirement 6.5.4
[26]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1.2 Requirement 6.3.1.1, Requirement 6.5.1
[27]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2.0 Requirement 6.5.7
[28]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3.0 Requirement 6.5.7
[29]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3.1 Requirement 6.5.7
[30]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3.2 Requirement 6.5.7
[31]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3.2.1 Requirement 6.5.7
[32]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4.0 Requirement 6.2.4
[33]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4.0.1 Requirement 6.2.4
[34]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Software Security Framework 1.0 Control Objective 4.2 - Critical Asset Protection
[35]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Software Security Framework 1.1 Control Objective 4.2 - Critical Asset Protection, Control Objective B.3.1 - Terminal Software Attack Mitigation, Control Objective B.3.1.1 - Terminal Software Attack Mitigation
[36]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Software Security Framework 1.2 Control Objective 4.2 - Critical Asset Protection, Control Objective B.3.1 - Terminal Software Attack Mitigation, Control Objective B.3.1.1 - Terminal Software Attack Mitigation, Control Objective C.3.2 - Web Software Attack Mitigation
[37] Standards Mapping - SANS Top 25 2009 Insecure Interaction - CWE ID 079
[38] Standards Mapping - SANS Top 25 2010 Insecure Interaction - CWE ID 079
[39] Standards Mapping - SANS Top 25 2011 Insecure Interaction - CWE ID 079
[40]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3.1 APP3510 CAT I, APP3580 CAT I
[41]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3.4 APP3510 CAT I, APP3580 CAT I
[42]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3.5 APP3510 CAT I, APP3580 CAT I
[43]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3.6 APP3510 CAT I, APP3580 CAT I
[44]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3.7 APP3510 CAT I, APP3580 CAT I
[45]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3.9 APP3510 CAT I, APP3580 CAT I
[46]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3.10 APP3510 CAT I, APP3580 CAT I
[47]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2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48]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3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49]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4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0]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5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1]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6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2]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7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3]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8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4]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9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5]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10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6]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11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7]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1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8]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5.1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9]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5.2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60]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5.3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30 CAT II, APSC-DV-002560 CAT I
[61]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6.1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30 CAT II, APSC-DV-002560 CAT I
[62] Standards Mapping - Web Application Security Consortium Version 2.00 Cross-Site Scripting (WASC-08)
[63] Standards Mapping - Web Application Security Consortium 24 + 2 Cross-Site Scripting
desc.dataflow.golang.cross_site_scripting_inter_component_communication
Abstract
검증되지 않은 데이터를 웹 브라우저에 보내면 브라우저가 악성 코드를 실행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Explanation
XSS(Cross-site scripting) 취약점은 다음 경우에 발생합니다.

1. 신뢰할 수 없는 소스를 통해 데이터가 웹 또는 모바일 응용 프로그램에 입력됩니다. Inter-Component Communication XSS의 경우 신뢰할 수 없는 소스는 동일한 시스템에 상주하는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받은 데이터입니다. 모바일 환경에서 이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장치에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입니다. Reflected XSS의 경우 신뢰할 수 없는 소스는 일반적으로 웹 요청이지만, Persisted(Stored 라고도 함) XSS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백엔드 데이터 저장소입니다.


2. 데이터는 검증 없이 웹 사용자에게 전달된 동적 콘텐트에 포함됩니다.

웹 브라우저에 전달되는 악성 콘텐트는 흔히 JavaScript 세그먼트의 형태를 취하지만 HTML, Flash 또는 기타 브라우저가 실행하는 다른 모든 유형의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습니다. XSS 기반의 공격은 거의 무제한으로 다양하지만, 흔히 쿠키 또는 기타 세션 정보와 같은 개인 데이터를 공격자에게 전송하여 피해자를 공격자가 제어하는 웹 콘텐트에 리디렉션하거나 피해 사이트로 위장하고 사용자 컴퓨터에 기타 악의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공통적인 수법입니다.

모바일 환경에서는 Cross-Site Scripting과 같은 전형적인 웹 응용 프로그램 취약성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사용자도 있습니다. 자기 자신을 공격하는 사용자는 없을 것이라 여기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모바일 플랫폼의 핵심 요소는 다양한 소스에서 다운로드되어 같은 장치에서 함께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이라는 점을 유념해야 합니다. 즉 금융 응용 프로그램과 맬웨어를 함께 실행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프로세스 간 통신을 포함하도록 모바일 응용 프로그램의 공격 표면을 확장해야 합니다.

예제 1: 다음 코드는 Android의 WebView에서 JavaScript를 활성화(기본적으로 JavaScript는 비활성화됨)하고 Android 인텐트에서 받은 값을 기준으로 페이지를 로드합니다.


...
WebView webview = (WebView) findViewById(R.id.webview);
webview.getSettings().setJavaScriptEnabled(true);
String url = this.getIntent().getExtras().getString("url");
webview.loadUrl(url);
...
url 값이 javascript:로 시작하면 그 뒤에 오는 JavaScript 코드가 WebView 내에 있는 웹 페이지의 컨텍스트에서 실행됩니다.

예제 2: 다음 JSP 코드 세그먼트는 HTTP 요청에서 직원 ID인 eid를 읽어 사용자에게 표시합니다.


<% String eid = request.getParameter("eid"); %>
...
Employee ID: <%= eid %>


다음 예제의 코드는 eid에 표준 영숫자 텍스트만 있으면 올바로 동작합니다. eid가 메타 문자나 소스 코드가 포함된 값을 갖는 경우, 웹 브라우저가 HTTP 응답을 표시할 때 코드를 실행합니다.

처음에는 이것이 큰 취약점으로 보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결국 누군가 URL을 입력하여 자신의 컴퓨터에서 악성 코드가 실행되게 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정말 위험한 일은 공격자가 악성 URL을 만든 다음 전자 메일 또는 사회 공학 속임수를 사용하여 피해자가 URL의 링크를 방문하도록 만드는 것입니다. 피해자가 링크를 클릭하면 모르는 사이에 취약한 웹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해로운 내용을 본인의 컴퓨터로 전달하게 됩니다. 취약한 웹 응용 프로그램을 익스플로이트하는 메커니즘을 Reflected XSS 라고 합니다.

예제 3: 다음 JSP 코드 세그먼트는 지정된 직원 ID의 직원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쿼리하여 해당 직원의 이름을 인쇄합니다.


<%...
Statement stmt = conn.createStatement();
ResultSet rs = stmt.executeQuery("select * from emp where id="+eid);
if (rs != null) {
rs.next();
String name = rs.getString("name");
}
%>

Employee Name: <%= name %>
Example 2에서처럼 이 코드는 name의 값이 올바로 동작할 때는 정확하게 기능을 하지만 그렇지 않을 때는 익스플로이트를 방지하기 위한 아무 조치도 취하지 않습니다. 이 코드는 name의 값을 분명하게 응용 프로그램이 콘텐트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읽기 때문에 위험하지 않은 것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name의 값이 사용자가 제공하는 데이터에서 오는 경우 데이터베이스는 악성 콘텐트의 통로가 될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에 대한 적절한 입력값 검증 절차가 없으면 공격자는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에서 악의적인 명령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런 유형의 익스플로이트를 Persistent(또는 Stored) XSS라고 하는데 데이터 저장소가 사용하는 간접 참조 때문에 위협을 식별하기 어렵고 공격이 여러 사용자에게 가해질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에 더욱 위험합니다. XSS는 방문자에게 "방명록"을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서 이런 형태로 시작되었습니다. 공격자가 방명록 항목에 JavaScript를 삽입하면 이후에 방명록 페이지를 방문하는 방문자는 모두 악성 코드를 실행하게 됩니다.

예제에서처럼, XSS 취약점은 HTTP 응답에 확인되지 않은 데이터가 포함된 코드 때문에 발생합니다. XSS 공격이 피해자에게 가해지는 방식은 세 가지가 있습니다.

- Example 1과 같이 응용 프로그램 외부의 소스에서 데이터베이스 또는 기타 데이터 저장소에 위험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위험한 데이터를 응용 프로그램이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로 읽어 들여 데이터가 동적 콘텐트에 포함됩니다.

- Example 2에서처럼 데이터를 HTTP 요청에서 직접 읽어 들여 HTTP 응답에 다시 적용하는 것입니다. 적용된 XSS 익스플로이트는 공격자가 사용자로 하여금 위험한 콘텐트를 취약한 웹 응용 프로그램에 제공하도록 만드는 것입니다. 이 위험한 콘텐트는 다시 사용자에게 돌아가고 웹 브라우저가 이를 실행합니다. 악성 콘텐트를 제공하는 가장 일반적인 메커니즘은 콘텐트를 공용으로 게시하거나 피해자에게 직접 전자 메일로 보내지는 URL의 매개 변수로 포함하는 것입니다. 이런 식으로 생성된 URL은 많은 공격자가 피해자를 속여 피해 사이트를 참조하는 URL을 방문하게 하는 피싱 기법의 근간을 이룹니다. 사이트가 공격자의 콘텐트를 사용자에게 보내면, 콘텐트가 실행되고 세션 정보가 들어있는 쿠키 등의 개인 정보가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공격자에게 전송되거나 다른 악의적인 작업이 수행됩니다.

- Example 3에서처럼 응용 프로그램은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소에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그러면 위험한 데이터는 응용 프로그램이 다시 읽어 들여 동적 콘텐트에 포함시킵니다. Persistent XSS 익스플로이트는 공격자가 위험한 콘텐트를 데이터 저장소에 삽입하고 이 콘텐트를 나중에 읽어 들여 동적 콘텐트에 포함시킬 때 발생합니다. 공격자의 관점에서 악성 콘텐트를 삽입할 최적의 장소는 많은 사용자나 특히 관련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장소입니다. 일반적으로 관련 사용자는 응용 프로그램에 권한을 높이거나 공격자가 원하는 민감한 데이터와 상호 작용합니다. 이런 사용자가 악성 콘텐트를 실행하면 공격자는 사용자 대신 권한 있는 작업을 실행하거나 사용자 소유의 민감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많은 최신 웹 프레임워크는 사용자 입력의 검증을 수행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합니다(Struts 및 Struts 2 포함). 확인되지 않은 입력의 소스를 강조하기 위해, Fortify 보안 코딩 규칙 팩은 악용 가능성을 낮추고 프레임워크 검증 메커니즘이 사용 중일 때마다 지원하는 증거에 포인터를 제공하여 Fortify Static Code Analyzer에서 보고한 문제의 우선 순위를 동적으로 재지정합니다. 이 기능을 Context-Sensitive Ranking(컨텍스트 감지 순위)이라고 부릅니다. Fortify 사용자의 감사 프로세스를 지원하기 위해, Fortify Software Security Research Group은 입력 소스에 적용된 검증 메커니즘에 따라 문제를 폴더로 그룹화하는 데이터 유효성 프로젝트 템플릿을 사용 가능하게 만듭니다.
References
[1] Understanding Malicious Content Mitigation for Web Developers CERT
[2] HTML 4.01 Specification W3
[3] Tongbo Luo, Hao Hao, Wenliang Du, Yifei Wang, and Heng Yin Attacks on WebView in the Android System
[4] Erika Chin and David Wagner Bifocals: Analyzing WebView Vulnerabilities in Android Applications
[5] INJECT-3: XML and HTML generation requires care Oracle
[6] Standards Mapping - Common Weakness Enumeration CWE ID 79, CWE ID 80
[7] Standards Mapping - Common Weakness Enumeration Top 25 2019 [2] CWE ID 079
[8] Standards Mapping - Common Weakness Enumeration Top 25 2020 [1] CWE ID 079
[9] Standards Mapping - Common Weakness Enumeration Top 25 2021 [2] CWE ID 079
[10] Standards Mapping - Common Weakness Enumeration Top 25 2022 [2] CWE ID 079
[11] Standards Mapping - Common Weakness Enumeration Top 25 2023 [2] CWE ID 079
[12] Standards Mapping - Common Weakness Enumeration Top 25 2024 [1] CWE ID 079
[13] Standards Mapping - DISA Control Correlation Identifier Version 2 CCI-001310, CCI-002754
[14] Standards Mapping - FIPS200 SI
[15] Standards Mapping -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GDPR) Indirect Access to Sensitive Data
[16] Standards Mapping - NIST Special Publication 800-53 Revision 4 SI-10 Information Input Validation (P1)
[17] Standards Mapping - NIST Special Publication 800-53 Revision 5 SI-10 Information Input Validation
[18] Standards Mapping - OWASP Application Security Verification Standard 4.0 5.3.3 Output Encoding and Injection Prevention Requirements (L1 L2 L3), 5.3.6 Output Encoding and Injection Prevention Requirements (L1 L2 L3)
[19] Standards Mapping - OWASP Mobile 2014 M7 Client Side Injection
[20] Standards Mapping - OWASP Mobile 2024 M4 Insufficient Input/Output Validation
[21] Standards Mapping - OWASP Mobile Application Security Verification Standard 2.0 MASVS-CODE-4
[22] Standards Mapping - OWASP Top 10 2004 A4 Cross Site Scripting
[23] Standards Mapping - OWASP Top 10 2007 A1 Cross Site Scripting (XSS)
[24] Standards Mapping - OWASP Top 10 2010 A2 Cross-Site Scripting (XSS)
[25] Standards Mapping - OWASP Top 10 2013 A3 Cross-Site Scripting (XSS)
[26] Standards Mapping - OWASP Top 10 2017 A7 Cross-Site Scripting (XSS)
[27] Standards Mapping - OWASP Top 10 2021 A03 Injection
[28]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1.1 Requirement 6.5.4
[29]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1.2 Requirement 6.3.1.1, Requirement 6.5.1
[30]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2.0 Requirement 6.5.7
[31]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3.0 Requirement 6.5.7
[32]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3.1 Requirement 6.5.7
[33]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3.2 Requirement 6.5.7
[34]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3.2.1 Requirement 6.5.7
[35]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4.0 Requirement 6.2.4
[36]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4.0.1 Requirement 6.2.4
[37]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Software Security Framework 1.0 Control Objective 4.2 - Critical Asset Protection
[38]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Software Security Framework 1.1 Control Objective 4.2 - Critical Asset Protection, Control Objective B.3.1 - Terminal Software Attack Mitigation, Control Objective B.3.1.1 - Terminal Software Attack Mitigation
[39]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Software Security Framework 1.2 Control Objective 4.2 - Critical Asset Protection, Control Objective B.3.1 - Terminal Software Attack Mitigation, Control Objective B.3.1.1 - Terminal Software Attack Mitigation, Control Objective C.3.2 - Web Software Attack Mitigation
[40] Standards Mapping - SANS Top 25 2009 Insecure Interaction - CWE ID 079
[41] Standards Mapping - SANS Top 25 2010 Insecure Interaction - CWE ID 079
[42] Standards Mapping - SANS Top 25 2011 Insecure Interaction - CWE ID 079
[43]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3.1 APP3510 CAT I, APP3580 CAT I
[44]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3.4 APP3510 CAT I, APP3580 CAT I
[45]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3.5 APP3510 CAT I, APP3580 CAT I
[46]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3.6 APP3510 CAT I, APP3580 CAT I
[47]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3.7 APP3510 CAT I, APP3580 CAT I
[48]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3.9 APP3510 CAT I, APP3580 CAT I
[49]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3.10 APP3510 CAT I, APP3580 CAT I
[50]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2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1]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3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2]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4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3]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5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4]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6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5]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7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6]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8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7]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9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8]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10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9]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11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60]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1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61]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5.1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62]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5.2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63]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5.3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30 CAT II, APSC-DV-002560 CAT I
[64]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6.1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30 CAT II, APSC-DV-002560 CAT I
[65] Standards Mapping - Web Application Security Consortium Version 2.00 Cross-Site Scripting (WASC-08)
[66] Standards Mapping - Web Application Security Consortium 24 + 2 Cross-Site Scripting
desc.dataflow.java.cross_site_scripting_inter_component_communication
Abstract
검증되지 않은 데이터를 웹 브라우저에 보내면 브라우저가 악성 코드를 실행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Explanation
XSS(Cross-Site Scripting) 취약점은 다음 경우에 발생합니다.

1. 신뢰할 수 없는 소스를 통해 데이터가 웹 응용 프로그램에 입력됩니다. Inter-Component Communication XSS의 경우 신뢰할 수 없는 소스는 동일한 시스템에 상주하는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받은 데이터입니다. 모바일 환경에서 이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장치에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입니다. Reflected XSS의 경우 신뢰할 수 없는 소스는 일반적으로 웹 요청이지만, Persisted(Stored 라고도 함) XSS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백엔드 데이터 저장소입니다.


2. 데이터는 검증 없이 웹 사용자에게 전달된 동적 콘텐트에 포함됩니다.

웹 브라우저에 전달되는 악성 콘텐트는 흔히 JavaScript 세그먼트의 형태를 취하지만 HTML, Flash 또는 기타 브라우저가 실행하는 다른 모든 유형의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습니다. XSS 기반의 공격은 거의 무제한으로 다양하지만, 흔히 쿠키 또는 기타 세션 정보와 같은 개인 데이터를 공격자에게 전송하여 피해자를 공격자가 제어하는 웹 콘텐트에 리디렉션하거나 피해 사이트로 위장하고 사용자 컴퓨터에 기타 악의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공통적인 수법입니다.

모바일 환경에서는 Cross-Site Scripting과 같은 전형적인 웹 응용 프로그램 취약성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사용자도 있습니다. 자기 자신을 공격하는 사용자는 없을 것이라 여기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모바일 플랫폼의 핵심 요소는 다양한 소스에서 다운로드되어 같은 장치에서 함께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이라는 점을 유념해야 합니다. 즉 금융 응용 프로그램과 맬웨어를 함께 실행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프로세스 간 통신을 포함하도록 모바일 응용 프로그램의 공격 표면을 확장해야 합니다.

예제 1: 다음 코드는 Android의 WebView에서 JavaScript를 활성화(기본적으로 JavaScript는 비활성화됨)하고 Android 인텐트에서 받은 값을 기준으로 페이지를 로드합니다.


...
val webview = findViewById<View>(R.id.webview) as WebView
webview.settings.javaScriptEnabled = true
val url = this.intent.extras!!.getString("url")
webview.loadUrl(url)
...
url 값이 javascript:로 시작하면 그 뒤에 오는 JavaScript 코드가 WebView 내에 있는 웹 페이지의 컨텍스트에서 실행됩니다.

예제 2: 다음 코드는 HTTP 서블릿 요청에서 직원 ID인 eid를 읽은 다음 서블릿의 응답에서 사용자에게 값을 되돌려 주어 표시합니다.


val eid: String = request.getParameter("eid")
...
val out: ServletOutputStream = response.getOutputStream()
out.print("Employee ID: $eid")
...
out.close()
...


다음 예제의 코드는 eid에 표준 영숫자 텍스트만 있으면 올바로 동작합니다. eid가 메타 문자나 소스 코드가 포함된 값을 갖는 경우, 웹 브라우저가 HTTP 응답을 표시할 때 코드를 실행합니다.

처음에는 이것이 큰 취약점으로 보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결국 누군가 URL을 입력하여 자신의 컴퓨터에서 악성 코드가 실행되게 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정말 위험한 일은 공격자가 악성 URL을 만든 다음 전자 메일 또는 사회 공학 속임수를 사용하여 피해자가 URL의 링크를 방문하도록 만드는 것입니다. 피해자가 링크를 클릭하면 모르는 사이에 취약한 웹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해로운 내용을 본인의 컴퓨터로 전달하게 됩니다. 취약한 웹 응용 프로그램을 익스플로이트하는 메커니즘을 Reflected XSS 라고 합니다.

예제 3: 다음 코드 세그먼트는 주어진 직원 ID를 가진 직원을 데이터베이스에 쿼리하여 서블릿 응답에서 해당 직원의 이름을 인쇄합니다.


val stmt: Statement = conn.createStatement()
val rs: ResultSet = stmt.executeQuery("select * from emp where id=$eid")
rs.next()
val name: String = rs.getString("name")
...
val out: ServletOutputStream = response.getOutputStream()
out.print("Employee Name: $name")
...
out.close()
...
Example 2에서처럼 이 코드는 name의 값이 올바로 동작할 때는 정확하게 기능을 하지만 그렇지 않을 때는 익스플로이트를 방지하기 위한 아무 조치도 취하지 않습니다. 이 코드는 name의 값을 분명하게 응용 프로그램이 콘텐트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읽기 때문에 위험하지 않은 것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name의 값이 사용자가 제공하는 데이터에서 오는 경우 데이터베이스는 악성 콘텐트의 통로가 될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에 대한 적절한 입력값 검증 절차가 없으면 공격자는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에서 악의적인 명령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런 유형의 익스플로이트를 Persistent(또는 Stored) XSS라고 하는데 데이터 저장소가 사용하는 간접 참조 때문에 위협을 식별하기 어렵고 공격이 여러 사용자에게 가해질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에 더욱 위험합니다. XSS는 방문자에게 "방명록"을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서 이런 형태로 시작되었습니다. 공격자가 방명록 항목에 JavaScript를 삽입하면 이후에 방명록 페이지를 방문하는 방문자는 모두 악성 코드를 실행하게 됩니다.

예제에서처럼, XSS 취약점은 HTTP 응답에 확인되지 않은 데이터가 포함된 코드 때문에 발생합니다. XSS 공격이 피해자에게 가해지는 방식은 세 가지가 있습니다.

- Example 1과 같이 응용 프로그램 외부의 소스에서 데이터베이스 또는 기타 데이터 저장소에 위험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위험한 데이터를 응용 프로그램이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로 읽어 들여 데이터가 동적 콘텐트에 포함됩니다.

- Example 2에서처럼 데이터를 HTTP 요청에서 직접 읽어 들여 HTTP 응답에 다시 적용하는 것입니다. 적용된 XSS 익스플로이트는 공격자가 사용자로 하여금 위험한 콘텐트를 취약한 웹 응용 프로그램에 제공하도록 만드는 것입니다. 이 위험한 콘텐트는 다시 사용자에게 돌아가고 웹 브라우저가 이를 실행합니다. 악성 콘텐트를 제공하는 가장 일반적인 메커니즘은 콘텐트를 공용으로 게시하거나 피해자에게 직접 전자 메일로 보내지는 URL의 매개 변수로 포함하는 것입니다. 이런 식으로 생성된 URL은 많은 공격자가 피해자를 속여 피해 사이트를 참조하는 URL을 방문하게 하는 피싱 기법의 근간을 이룹니다. 사이트가 공격자의 콘텐트를 사용자에게 보내면, 콘텐트가 실행되고 세션 정보가 들어있는 쿠키 등의 개인 정보가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공격자에게 전송되거나 다른 악의적인 작업이 수행됩니다.

- Example 3에서처럼 응용 프로그램은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소에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그러면 위험한 데이터는 응용 프로그램이 다시 읽어 들여 동적 콘텐트에 포함시킵니다. Persistent XSS 익스플로이트는 공격자가 위험한 콘텐트를 데이터 저장소에 삽입하고 이 콘텐트를 나중에 읽어 들여 동적 콘텐트에 포함시킬 때 발생합니다. 공격자의 관점에서 악성 콘텐트를 삽입할 최적의 장소는 많은 사용자나 특히 관련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장소입니다. 일반적으로 관련 사용자는 응용 프로그램에 권한을 높이거나 공격자가 원하는 민감한 데이터와 상호 작용합니다. 이런 사용자가 악성 콘텐트를 실행하면 공격자는 사용자 대신 권한 있는 작업을 실행하거나 사용자 소유의 민감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많은 최신 웹 프레임워크는 사용자 입력의 검증을 수행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합니다(Struts 및 Spring MVC 포함). 확인되지 않은 입력의 소스를 강조하기 위해, Fortify 보안 코딩 규칙 팩은 악용 가능성을 낮추고 프레임워크 검증 메커니즘이 사용 중일 때마다 지원하는 증거에 포인터를 제공하여 Fortify Static Code Analyzer에서 보고한 문제의 우선 순위를 동적으로 재지정합니다. 이 기능을 Context-Sensitive Ranking(컨텍스트 감지 순위)이라고 부릅니다. Fortify 사용자의 감사 프로세스를 지원하기 위해, Fortify Software Security Research Group은 입력 소스에 적용된 검증 메커니즘에 따라 문제를 폴더로 그룹화하는 데이터 유효성 프로젝트 템플릿을 사용 가능하게 만듭니다.
References
[1] Understanding Malicious Content Mitigation for Web Developers CERT
[2] HTML 4.01 Specification W3
[3] Tongbo Luo, Hao Hao, Wenliang Du, Yifei Wang, and Heng Yin Attacks on WebView in the Android System
[4] Erika Chin and David Wagner Bifocals: Analyzing WebView Vulnerabilities in Android Applications
[5] INJECT-3: XML and HTML generation requires care Oracle
[6] Standards Mapping - Common Weakness Enumeration CWE ID 79, CWE ID 80
[7] Standards Mapping - Common Weakness Enumeration Top 25 2019 [2] CWE ID 079
[8] Standards Mapping - Common Weakness Enumeration Top 25 2020 [1] CWE ID 079
[9] Standards Mapping - Common Weakness Enumeration Top 25 2021 [2] CWE ID 079
[10] Standards Mapping - Common Weakness Enumeration Top 25 2022 [2] CWE ID 079
[11] Standards Mapping - Common Weakness Enumeration Top 25 2023 [2] CWE ID 079
[12] Standards Mapping - Common Weakness Enumeration Top 25 2024 [1] CWE ID 079
[13] Standards Mapping - DISA Control Correlation Identifier Version 2 CCI-001310, CCI-002754
[14] Standards Mapping - FIPS200 SI
[15] Standards Mapping -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GDPR) Indirect Access to Sensitive Data
[16] Standards Mapping - NIST Special Publication 800-53 Revision 4 SI-10 Information Input Validation (P1)
[17] Standards Mapping - NIST Special Publication 800-53 Revision 5 SI-10 Information Input Validation
[18] Standards Mapping - OWASP Application Security Verification Standard 4.0 5.3.3 Output Encoding and Injection Prevention Requirements (L1 L2 L3), 5.3.6 Output Encoding and Injection Prevention Requirements (L1 L2 L3)
[19] Standards Mapping - OWASP Mobile 2014 M7 Client Side Injection
[20] Standards Mapping - OWASP Mobile 2024 M4 Insufficient Input/Output Validation
[21] Standards Mapping - OWASP Mobile Application Security Verification Standard 2.0 MASVS-CODE-4
[22] Standards Mapping - OWASP Top 10 2004 A4 Cross Site Scripting
[23] Standards Mapping - OWASP Top 10 2007 A1 Cross Site Scripting (XSS)
[24] Standards Mapping - OWASP Top 10 2010 A2 Cross-Site Scripting (XSS)
[25] Standards Mapping - OWASP Top 10 2013 A3 Cross-Site Scripting (XSS)
[26] Standards Mapping - OWASP Top 10 2017 A7 Cross-Site Scripting (XSS)
[27] Standards Mapping - OWASP Top 10 2021 A03 Injection
[28]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1.1 Requirement 6.5.4
[29]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1.2 Requirement 6.3.1.1, Requirement 6.5.1
[30]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2.0 Requirement 6.5.7
[31]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3.0 Requirement 6.5.7
[32]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3.1 Requirement 6.5.7
[33]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3.2 Requirement 6.5.7
[34]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3.2.1 Requirement 6.5.7
[35]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4.0 Requirement 6.2.4
[36]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4.0.1 Requirement 6.2.4
[37]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Software Security Framework 1.0 Control Objective 4.2 - Critical Asset Protection
[38]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Software Security Framework 1.1 Control Objective 4.2 - Critical Asset Protection, Control Objective B.3.1 - Terminal Software Attack Mitigation, Control Objective B.3.1.1 - Terminal Software Attack Mitigation
[39]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Software Security Framework 1.2 Control Objective 4.2 - Critical Asset Protection, Control Objective B.3.1 - Terminal Software Attack Mitigation, Control Objective B.3.1.1 - Terminal Software Attack Mitigation, Control Objective C.3.2 - Web Software Attack Mitigation
[40] Standards Mapping - SANS Top 25 2009 Insecure Interaction - CWE ID 079
[41] Standards Mapping - SANS Top 25 2010 Insecure Interaction - CWE ID 079
[42] Standards Mapping - SANS Top 25 2011 Insecure Interaction - CWE ID 079
[43]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3.1 APP3510 CAT I, APP3580 CAT I
[44]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3.4 APP3510 CAT I, APP3580 CAT I
[45]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3.5 APP3510 CAT I, APP3580 CAT I
[46]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3.6 APP3510 CAT I, APP3580 CAT I
[47]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3.7 APP3510 CAT I, APP3580 CAT I
[48]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3.9 APP3510 CAT I, APP3580 CAT I
[49]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3.10 APP3510 CAT I, APP3580 CAT I
[50]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2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1]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3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2]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4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3]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5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4]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6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5]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7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6]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8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7]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9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8]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10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9]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11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60]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1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61]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5.1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62]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5.2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63]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5.3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30 CAT II, APSC-DV-002560 CAT I
[64]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6.1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30 CAT II, APSC-DV-002560 CAT I
[65] Standards Mapping - Web Application Security Consortium Version 2.00 Cross-Site Scripting (WASC-08)
[66] Standards Mapping - Web Application Security Consortium 24 + 2 Cross-Site Scripting
desc.dataflow.kotlin.cross_site_scripting_inter_component_communication
Abstract
검증되지 않은 데이터를 웹 브라우저에 보내면 브라우저가 악성 코드를 실행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Explanation
XSS(Cross-site scripting) 취약점은 다음 경우에 발생합니다.

1. 신뢰할 수 없는 소스를 통해 데이터가 웹 또는 모바일 응용 프로그램에 입력됩니다. Inter-Component Communication XSS의 경우 신뢰할 수 없는 소스는 동일한 시스템에 상주하는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받은 데이터입니다. 모바일 환경에서 이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장치에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입니다. Reflected XSS의 경우 신뢰할 수 없는 소스는 일반적으로 웹 요청이지만, Persistent(Stored라고도 함) XSS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백엔드 데이터 저장소입니다.


2. 데이터는 검증 없이 웹 사용자에게 전달된 동적 콘텐트에 포함됩니다.

웹 브라우저에 전달되는 악성 콘텐트는 흔히 JavaScript 세그먼트의 형태를 취하지만 HTML, Flash 또는 기타 브라우저가 실행하는 다른 모든 유형의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습니다. XSS 기반의 공격은 거의 무제한으로 다양하지만, 흔히 쿠키 또는 기타 세션 정보와 같은 개인 데이터를 공격자에게 전송하여 피해자를 공격자가 제어하는 웹 콘텐트에 리디렉션하거나 피해 사이트로 위장하고 사용자 컴퓨터에 기타 악의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공통적인 수법입니다.

모바일 환경에서는 Cross-Site Scripting과 같은 전형적인 웹 응용 프로그램 취약성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사용자도 있습니다. 자기 자신을 공격하는 사용자는 없을 것이라 여기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모바일 플랫폼의 핵심 요소는 다양한 소스에서 다운로드되어 같은 장치에서 함께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이라는 점을 유념해야 합니다. 즉 금융 응용 프로그램과 맬웨어를 함께 실행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프로세스 간 통신을 포함하도록 모바일 응용 프로그램의 공격 표면을 확장해야 합니다.

예제 1: 다음 코드에서는 응용 프로그램이 해당 응용 프로그램의 사용자 지정 URL 스키마를 사용하는 URL 요청의 데이터로 WKWebView 내에 html 페이지를 로드할 수 있도록 합니다.

AppDelegate.m:

...
@property (strong, nonatomic) NSString *webContentFromURL;
...
- (BOOL)application:(UIApplication *)application openURL:(NSURL *)url sourceApplication:(NSString *)sourceApplication annotation:(id)annotation {
...
[self setWebContentFromURL:[url host]];
...
...


ViewController.m

...
@property (strong, nonatomic) WKWebView *webView;
...
AppDelegate *appDelegate = (AppDelegate *)[[UIApplication sharedApplication] delegate];
...
[_webView loadHTMLString:appDelegate.webContentFromURL] baseURL:nil];
...


loadHTMLString:으로 전달되는 문자열은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고 WKWebView 내에서는 기본적으로 JavaScript가 활성화되므로 사용자는 앱의 사용자 지정 URL 스키마를 사용하는 요청을 통해 WKWebView에 임의의 콘텐트(실행 가능한 스크립트 포함)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예제 2: 다음 코드에서는 UITextField의 콘텐트를 읽고 이를 WKWebView 내에서 사용자에게 표시합니다.


...
@property (strong, nonatomic) WKWebView *webView;
@property (strong, nonatomic) UITextField *inputTextField;
...
[_webView loadHTMLString:_inputTextField.text baseURL:nil];
...


다음 예제의 코드는 inputTextField 내의 텍스트에 표준 영숫자 텍스트만 있으면 문제없이 작동합니다. inputTextField 내의 텍스트에 메타 문자나 소스 코드가 포함되어 있으면 웹 브라우저에서 HTTP 응답을 표시할 때 입력을 코드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이것이 큰 취약점으로 보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자신의 장치에서 악의적인 코드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는 입력을 제공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정말 위험한 일은 공격자가 전자 메일 또는 사회 공학 속임수를 사용하여 피해자가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만드는 것입니다. 이러한 공격에 성공하면 피해자는 모르는 사이에 취약한 웹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해로운 내용을 본인의 장치로 전달하게 됩니다. 취약한 웹 응용 프로그램을 익스플로이트하는 메커니즘을 Reflected XSS 라고 합니다.

예제 3: 다음 코드 세그먼트는 주어진 ID를 가진 직원을 데이터베이스에 쿼리하여 WKWebView의 표시 콘텐트에 값을 출력합니다.


...
@property (strong, nonatomic) WKWebView *webView;
...
NSFetchRequest *fetchRequest = [[NSFetchRequest alloc] init];
NSEntityDescription *entity = [NSEntityDescription entityForName:@"Employee" inManagedObjectContext:context];
[fetchRequest setEntity:entity];

NSArray *fetchedObjects = [context executeFetchRequest:fetchRequest error:&error];
for (NSManagedObject *info in fetchedObjects) {
NSString msg = @"Hello, " + [info valueForKey:@"name"];
[_webView loadHTMLString:msg baseURL:nil]
...
}
...
Example 2에서처럼 이 코드는 name의 값이 올바로 동작할 때는 정확하게 기능을 하지만 그렇지 않을 때는 익스플로이트를 방지하기 위한 아무 조치도 취하지 않습니다. 이 코드는 name의 값을 분명하게 응용 프로그램이 콘텐트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읽기 때문에 위험하지 않은 것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name의 값이 사용자가 제공하는 데이터에서 오는 경우 데이터베이스는 악성 콘텐트의 통로가 될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에 대한 적절한 입력값 검증 절차가 없으면 공격자는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에서 악의적인 명령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런 유형의 익스플로이트를 Persistent(또는 Stored) XSS라고 하는데 데이터 저장소가 사용하는 간접 참조 때문에 위협을 식별하기 어렵고 공격이 여러 사용자에게 가해질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에 더욱 위험합니다. XSS는 방문자에게 "방명록"을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서 이런 형태로 시작되었습니다. 공격자가 방명록 항목에 JavaScript를 삽입하면 이후에 방명록 페이지를 방문하는 방문자는 모두 악성 코드를 실행하게 됩니다.

예제에서처럼, XSS 취약점은 HTTP 응답에 확인되지 않은 데이터가 포함된 코드 때문에 발생합니다. XSS 공격이 피해자에게 가해지는 방식은 세 가지가 있습니다.

- Example 1에서는 대상 응용 프로그램 외부의 소스에서 대상 응용 프로그램의 사용자 지정 URL 스키마를 사용하여 URL 요청을 생성하고, 이어서 URL 요청의 확인되지 않은 데이터를 응용 프로그램이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로 다시 읽어 들여 데이터가 동적 콘텐트에 포함됩니다.

- Example 2에서는 데이터를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는 UI 구성 요소에서 직접 읽어 들여 HTTP 응답에 다시 적용합니다. 적용된 XSS 익스플로이트는 공격자가 사용자로 하여금 위험한 콘텐트를 취약한 웹 응용 프로그램에 제공하도록 만드는 것입니다. 이 위험한 콘텐트는 다시 사용자에게 돌아가고 웹 브라우저가 이를 실행합니다. 악성 콘텐트를 제공하는 가장 일반적인 메커니즘은 콘텐트를 공용으로 게시하거나 피해자에게 직접 전자 메일로 보내지는 URL의 매개 변수로 포함하는 것입니다. 이런 식으로 생성된 URL은 많은 공격자가 피해자를 속여 피해 사이트를 참조하는 URL을 방문하게 하는 피싱 기법의 근간을 이룹니다. 사이트가 공격자의 콘텐트를 사용자에게 보내면, 콘텐트가 실행되고 세션 정보가 들어있는 쿠키 등의 개인 정보가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공격자에게 전송되거나 다른 악의적인 작업이 수행됩니다.

- Example 3에서처럼 응용 프로그램은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소에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그러면 위험한 데이터는 응용 프로그램이 다시 읽어 들여 동적 콘텐트에 포함시킵니다. Persistent XSS 익스플로이트는 공격자가 위험한 콘텐트를 데이터 저장소에 삽입하고 이 콘텐트를 나중에 읽어 들여 동적 콘텐트에 포함시킬 때 발생합니다. 공격자의 관점에서 악성 콘텐트를 삽입할 최적의 장소는 많은 사용자나 특히 관련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장소입니다. 일반적으로 관련 사용자는 응용 프로그램에 권한을 높이거나 공격자가 원하는 민감한 데이터와 상호 작용합니다. 이런 사용자가 악성 콘텐트를 실행하면 공격자는 사용자 대신 권한 있는 작업을 실행하거나 사용자 소유의 민감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References
[1] Understanding Malicious Content Mitigation for Web Developers CERT
[2] HTML 4.01 Specification W3
[3] W/Labs Continued Adventures with iOS UIWebViews
[4] Standards Mapping - Common Weakness Enumeration CWE ID 79, CWE ID 80
[5] Standards Mapping - Common Weakness Enumeration Top 25 2019 [2] CWE ID 079
[6] Standards Mapping - Common Weakness Enumeration Top 25 2020 [1] CWE ID 079
[7] Standards Mapping - Common Weakness Enumeration Top 25 2021 [2] CWE ID 079
[8] Standards Mapping - Common Weakness Enumeration Top 25 2022 [2] CWE ID 079
[9] Standards Mapping - Common Weakness Enumeration Top 25 2023 [2] CWE ID 079
[10] Standards Mapping - Common Weakness Enumeration Top 25 2024 [1] CWE ID 079
[11] Standards Mapping - DISA Control Correlation Identifier Version 2 CCI-001310, CCI-002754
[12] Standards Mapping - FIPS200 SI
[13] Standards Mapping -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GDPR) Indirect Access to Sensitive Data
[14] Standards Mapping - NIST Special Publication 800-53 Revision 4 SI-10 Information Input Validation (P1)
[15] Standards Mapping - NIST Special Publication 800-53 Revision 5 SI-10 Information Input Validation
[16] Standards Mapping - OWASP Application Security Verification Standard 4.0 5.3.3 Output Encoding and Injection Prevention Requirements (L1 L2 L3), 5.3.6 Output Encoding and Injection Prevention Requirements (L1 L2 L3)
[17] Standards Mapping - OWASP Mobile 2014 M7 Client Side Injection
[18] Standards Mapping - OWASP Mobile 2024 M4 Insufficient Input/Output Validation
[19] Standards Mapping - OWASP Mobile Application Security Verification Standard 2.0 MASVS-CODE-4
[20] Standards Mapping - OWASP Top 10 2004 A4 Cross Site Scripting
[21] Standards Mapping - OWASP Top 10 2007 A1 Cross Site Scripting (XSS)
[22] Standards Mapping - OWASP Top 10 2010 A2 Cross-Site Scripting (XSS)
[23] Standards Mapping - OWASP Top 10 2013 A3 Cross-Site Scripting (XSS)
[24] Standards Mapping - OWASP Top 10 2017 A7 Cross-Site Scripting (XSS)
[25] Standards Mapping - OWASP Top 10 2021 A03 Injection
[26]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1.1 Requirement 6.5.4
[27]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1.2 Requirement 6.3.1.1, Requirement 6.5.1
[28]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2.0 Requirement 6.5.7
[29]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3.0 Requirement 6.5.7
[30]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3.1 Requirement 6.5.7
[31]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3.2 Requirement 6.5.7
[32]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3.2.1 Requirement 6.5.7
[33]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4.0 Requirement 6.2.4
[34]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4.0.1 Requirement 6.2.4
[35]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Software Security Framework 1.0 Control Objective 4.2 - Critical Asset Protection
[36]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Software Security Framework 1.1 Control Objective 4.2 - Critical Asset Protection, Control Objective B.3.1 - Terminal Software Attack Mitigation, Control Objective B.3.1.1 - Terminal Software Attack Mitigation
[37]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Software Security Framework 1.2 Control Objective 4.2 - Critical Asset Protection, Control Objective B.3.1 - Terminal Software Attack Mitigation, Control Objective B.3.1.1 - Terminal Software Attack Mitigation, Control Objective C.3.2 - Web Software Attack Mitigation
[38] Standards Mapping - SANS Top 25 2009 Insecure Interaction - CWE ID 079
[39] Standards Mapping - SANS Top 25 2010 Insecure Interaction - CWE ID 079
[40] Standards Mapping - SANS Top 25 2011 Insecure Interaction - CWE ID 079
[41]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3.1 APP3510 CAT I, APP3580 CAT I
[42]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3.4 APP3510 CAT I, APP3580 CAT I
[43]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3.5 APP3510 CAT I, APP3580 CAT I
[44]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3.6 APP3510 CAT I, APP3580 CAT I
[45]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3.7 APP3510 CAT I, APP3580 CAT I
[46]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3.9 APP3510 CAT I, APP3580 CAT I
[47]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3.10 APP3510 CAT I, APP3580 CAT I
[48]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2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49]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3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0]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4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1]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5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2]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6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3]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7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4]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8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5]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9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6]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10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7]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11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8]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1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9]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5.1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60]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5.2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61]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5.3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30 CAT II, APSC-DV-002560 CAT I
[62]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6.1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30 CAT II, APSC-DV-002560 CAT I
[63] Standards Mapping - Web Application Security Consortium Version 2.00 Cross-Site Scripting (WASC-08)
[64] Standards Mapping - Web Application Security Consortium 24 + 2 Cross-Site Scripting
desc.dataflow.objc.cross_site_scripting_inter_component_communication
Abstract
검증되지 않은 데이터를 웹 브라우저에 보내면 브라우저가 악성 코드를 실행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Explanation
XSS(Cross-site scripting) 취약점은 다음 경우에 발생합니다.

1. 신뢰할 수 없는 소스를 통해 데이터가 웹 또는 모바일 응용 프로그램에 입력됩니다. Inter-Component Communication XSS의 경우 신뢰할 수 없는 소스는 동일한 시스템에 상주하는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받은 데이터입니다. 모바일 환경에서 이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장치에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입니다. Reflected XSS의 경우 신뢰할 수 없는 소스는 일반적으로 웹 요청이지만, Persistent(Stored라고도 함) XSS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백엔드 데이터 저장소입니다.


2. 데이터는 검증 없이 웹 사용자에게 전달된 동적 콘텐트에 포함됩니다.

웹 브라우저에 전달되는 악성 콘텐트는 흔히 JavaScript 세그먼트의 형태를 취하지만 HTML, Flash 또는 기타 브라우저가 실행하는 다른 모든 유형의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습니다. XSS 기반의 공격은 거의 무제한으로 다양하지만, 흔히 쿠키 또는 기타 세션 정보와 같은 개인 데이터를 공격자에게 전송하여 피해자를 공격자가 제어하는 웹 콘텐트에 리디렉션하거나 피해 사이트로 위장하고 사용자 컴퓨터에 기타 악의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공통적인 수법입니다.

모바일 환경에서는 Cross-Site Scripting과 같은 전형적인 웹 응용 프로그램 취약성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사용자도 있습니다. 자기 자신을 공격하는 사용자는 없을 것이라 여기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모바일 플랫폼의 핵심 요소는 다양한 소스에서 다운로드되어 같은 장치에서 함께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이라는 점을 유념해야 합니다. 즉 금융 응용 프로그램과 맬웨어를 함께 실행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프로세스 간 통신을 포함하도록 모바일 응용 프로그램의 공격 표면을 확장해야 합니다.

예제 1: 다음 코드에서는 응용 프로그램이 해당 응용 프로그램의 사용자 지정 URL 스키마를 사용하는 URL 요청의 데이터로 WKWebView 내에 html 페이지를 로드할 수 있도록 합니다.


...
func application(app: UIApplication, openURL url: NSURL, options: [String : AnyObject]) -> Bool {
...
let name = getQueryStringParameter(url.absoluteString, "name")
let html = "Hi \(name)"
let webView = WKWebView()
webView.loadHTMLString(html, baseURL:nil)
...
}
func getQueryStringParameter(url: String?, param: String) -> String? {
if let url = url, urlComponents = NSURLComponents(string: url), queryItems = (urlComponents.queryItems as? [NSURLQueryItem]) {
return queryItems.filter({ (item) in item.name == param }).first?.value!
}
return nil
}
...
loadHTMLString:으로 전달되는 문자열은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고 WKWebView 내에서는 기본적으로 JavaScript가 활성화되므로 사용자는 앱의 사용자 지정 URL 스키마를 사용하는 요청을 통해 WKWebView에 임의의 콘텐트(실행 가능한 스크립트 포함)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예제 2: 다음 코드에서는 UITextField의 콘텐트를 읽고 이를 WKWebView 내에서 사용자에게 표시합니다.


...
let webView : WKWebView
let inputTextField : UITextField
webView.loadHTMLString(inputTextField.text, baseURL:nil)
...


다음 예제의 코드는 inputTextField 내의 텍스트에 표준 영숫자 텍스트만 있으면 문제없이 작동합니다. inputTextField 내의 텍스트에 메타 문자나 소스 코드가 포함되어 있으면 웹 브라우저에서 HTTP 응답을 표시할 때 입력을 코드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이것이 큰 취약점으로 보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자신의 장치에서 악의적인 코드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는 입력을 제공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정말 위험한 일은 공격자가 전자 메일 또는 사회 공학 속임수를 사용하여 피해자가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만드는 것입니다. 이러한 공격에 성공하면 피해자는 모르는 사이에 취약한 웹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해로운 내용을 본인의 장치로 전달하게 됩니다. 취약한 웹 응용 프로그램을 익스플로이트하는 메커니즘을 Reflected XSS 라고 합니다.

예제 3: 다음 코드 세그먼트는 지정된 직원 ID의 직원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쿼리하여 WKWebView의 표시 콘텐트에 값을 출력합니다.


let fetchRequest = NSFetchRequest()
let entity = NSEntityDescription.entityForName("Employee", inManagedObjectContext: managedContext)
fetchRequest.entity = entity
do {
let results = try managedContext.executeFetchRequest(fetchRequest)
let result : NSManagedObject = results.first!
let name : String = result.valueForKey("name")
let msg : String = "Hello, \(name)"
let webView : UIWebView = UIWebView()
webView.loadHTMLString(msg, baseURL:nil)
} catch let error as NSError {
print("Error \(error)")
}
Example 2에서처럼 이 코드는 name의 값이 올바로 동작할 때는 정확하게 기능을 하지만 그렇지 않을 때는 익스플로이트를 방지하기 위한 아무 조치도 취하지 않습니다. 이 코드는 name의 값을 분명하게 응용 프로그램이 콘텐트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읽기 때문에 위험하지 않은 것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name의 값이 사용자가 제공하는 데이터에서 오는 경우 데이터베이스는 악성 콘텐트의 통로가 될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에 대한 적절한 입력값 검증 절차가 없으면 공격자는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에서 악의적인 명령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런 유형의 익스플로이트를 Persistent(또는 Stored) XSS라고 하는데 데이터 저장소가 사용하는 간접 참조 때문에 위협을 식별하기 어렵고 공격이 여러 사용자에게 가해질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에 더욱 위험합니다. XSS는 방문자에게 "방명록"을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서 이런 형태로 시작되었습니다. 공격자가 방명록 항목에 JavaScript를 삽입하면 이후에 방명록 페이지를 방문하는 방문자는 모두 악성 코드를 실행하게 됩니다.

예제에서처럼, XSS 취약점은 HTTP 응답에 확인되지 않은 데이터가 포함된 코드 때문에 발생합니다. XSS 공격이 피해자에게 가해지는 방식은 세 가지가 있습니다.

- Example 1에서는 대상 응용 프로그램 외부의 소스에서 대상 응용 프로그램의 사용자 지정 URL 스키마를 사용하여 URL 요청을 생성하고, 이어서 URL 요청의 확인되지 않은 데이터를 응용 프로그램이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로 다시 읽어 들여 데이터가 동적 콘텐트에 포함됩니다.

- Example 2에서는 데이터를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는 UI 구성 요소에서 직접 읽어 들여 HTTP 응답에 다시 적용합니다. 적용된 XSS 익스플로이트는 공격자가 사용자로 하여금 위험한 콘텐트를 취약한 웹 응용 프로그램에 제공하도록 만드는 것입니다. 이 위험한 콘텐트는 다시 사용자에게 돌아가고 웹 브라우저가 이를 실행합니다. 악성 콘텐트를 제공하는 가장 일반적인 메커니즘은 콘텐트를 공용으로 게시하거나 피해자에게 직접 전자 메일로 보내지는 URL의 매개 변수로 포함하는 것입니다. 이런 식으로 생성된 URL은 많은 공격자가 피해자를 속여 피해 사이트를 참조하는 URL을 방문하게 하는 피싱 기법의 근간을 이룹니다. 사이트가 공격자의 콘텐트를 사용자에게 보내면, 콘텐트가 실행되고 세션 정보가 들어있는 쿠키 등의 개인 정보가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공격자에게 전송되거나 다른 악의적인 작업이 수행됩니다.

- Example 3에서처럼 응용 프로그램은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소에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그러면 위험한 데이터는 응용 프로그램이 다시 읽어 들여 동적 콘텐트에 포함시킵니다. Persistent XSS 익스플로이트는 공격자가 위험한 콘텐트를 데이터 저장소에 삽입하고 이 콘텐트를 나중에 읽어 들여 동적 콘텐트에 포함시킬 때 발생합니다. 공격자의 관점에서 악성 콘텐트를 삽입할 최적의 장소는 많은 사용자나 특히 관련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장소입니다. 일반적으로 관련 사용자는 응용 프로그램에 권한을 높이거나 공격자가 원하는 민감한 데이터와 상호 작용합니다. 이런 사용자가 악성 콘텐트를 실행하면 공격자는 사용자 대신 권한 있는 작업을 실행하거나 사용자 소유의 민감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References
[1] Understanding Malicious Content Mitigation for Web Developers CERT
[2] HTML 4.01 Specification W3
[3] W/Labs Continued Adventures with iOS UIWebViews
[4] Standards Mapping - Common Weakness Enumeration CWE ID 79, CWE ID 80
[5] Standards Mapping - Common Weakness Enumeration Top 25 2019 [2] CWE ID 079
[6] Standards Mapping - Common Weakness Enumeration Top 25 2020 [1] CWE ID 079
[7] Standards Mapping - Common Weakness Enumeration Top 25 2021 [2] CWE ID 079
[8] Standards Mapping - Common Weakness Enumeration Top 25 2022 [2] CWE ID 079
[9] Standards Mapping - Common Weakness Enumeration Top 25 2023 [2] CWE ID 079
[10] Standards Mapping - Common Weakness Enumeration Top 25 2024 [1] CWE ID 079
[11] Standards Mapping - DISA Control Correlation Identifier Version 2 CCI-001310, CCI-002754
[12] Standards Mapping - FIPS200 SI
[13] Standards Mapping -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GDPR) Indirect Access to Sensitive Data
[14] Standards Mapping - NIST Special Publication 800-53 Revision 4 SI-10 Information Input Validation (P1)
[15] Standards Mapping - NIST Special Publication 800-53 Revision 5 SI-10 Information Input Validation
[16] Standards Mapping - OWASP Application Security Verification Standard 4.0 5.3.3 Output Encoding and Injection Prevention Requirements (L1 L2 L3), 5.3.6 Output Encoding and Injection Prevention Requirements (L1 L2 L3)
[17] Standards Mapping - OWASP Mobile 2014 M7 Client Side Injection
[18] Standards Mapping - OWASP Mobile 2024 M4 Insufficient Input/Output Validation
[19] Standards Mapping - OWASP Mobile Application Security Verification Standard 2.0 MASVS-CODE-4
[20] Standards Mapping - OWASP Top 10 2004 A4 Cross Site Scripting
[21] Standards Mapping - OWASP Top 10 2007 A1 Cross Site Scripting (XSS)
[22] Standards Mapping - OWASP Top 10 2010 A2 Cross-Site Scripting (XSS)
[23] Standards Mapping - OWASP Top 10 2013 A3 Cross-Site Scripting (XSS)
[24] Standards Mapping - OWASP Top 10 2017 A7 Cross-Site Scripting (XSS)
[25] Standards Mapping - OWASP Top 10 2021 A03 Injection
[26]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1.1 Requirement 6.5.4
[27]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1.2 Requirement 6.3.1.1, Requirement 6.5.1
[28]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2.0 Requirement 6.5.7
[29]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3.0 Requirement 6.5.7
[30]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3.1 Requirement 6.5.7
[31]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3.2 Requirement 6.5.7
[32]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3.2.1 Requirement 6.5.7
[33]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4.0 Requirement 6.2.4
[34]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Version 4.0.1 Requirement 6.2.4
[35]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Software Security Framework 1.0 Control Objective 4.2 - Critical Asset Protection
[36]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Software Security Framework 1.1 Control Objective 4.2 - Critical Asset Protection, Control Objective B.3.1 - Terminal Software Attack Mitigation, Control Objective B.3.1.1 - Terminal Software Attack Mitigation
[37] Standards Mapping - Payment Card Industry Software Security Framework 1.2 Control Objective 4.2 - Critical Asset Protection, Control Objective B.3.1 - Terminal Software Attack Mitigation, Control Objective B.3.1.1 - Terminal Software Attack Mitigation, Control Objective C.3.2 - Web Software Attack Mitigation
[38] Standards Mapping - SANS Top 25 2009 Insecure Interaction - CWE ID 079
[39] Standards Mapping - SANS Top 25 2010 Insecure Interaction - CWE ID 079
[40] Standards Mapping - SANS Top 25 2011 Insecure Interaction - CWE ID 079
[41]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3.1 APP3510 CAT I, APP3580 CAT I
[42]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3.4 APP3510 CAT I, APP3580 CAT I
[43]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3.5 APP3510 CAT I, APP3580 CAT I
[44]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3.6 APP3510 CAT I, APP3580 CAT I
[45]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3.7 APP3510 CAT I, APP3580 CAT I
[46]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3.9 APP3510 CAT I, APP3580 CAT I
[47]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3.10 APP3510 CAT I, APP3580 CAT I
[48]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2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49]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3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0]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4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1]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5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2]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6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3]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7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4]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8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5]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9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6]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10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7]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11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8]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4.1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59]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5.1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60]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5.2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60 CAT I
[61]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5.3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30 CAT II, APSC-DV-002560 CAT I
[62] Standards Mapping - Security Technical Implementation Guide Version 6.1 APSC-DV-002490 CAT I, APSC-DV-002530 CAT II, APSC-DV-002560 CAT I
[63] Standards Mapping - Web Application Security Consortium Version 2.00 Cross-Site Scripting (WASC-08)
[64] Standards Mapping - Web Application Security Consortium 24 + 2 Cross-Site Scripting
desc.dataflow.swift.cross_site_scripting_inter_component_communication